환율, 경제

원·달러 환율 1300원대 진입…플라자 합의 재현 우려와 미·중 관세 유예, 원화 강세 영향 분석

healmon 2025. 5. 16. 14:30

원·달러 환율 1300원대 진입…플라자 합의 재현 우려와 미·중 관세 유예, 원화 강세 영향 분석

 

최근 외환시장에서 원화 강세가 눈에 띄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의 인위적인 통화 절상 요구 가능성과 미중 간 관세 유예 합의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특히, 과거 ‘플라자 합의’와 유사한 상황이 다시 전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1300원대 진입한 달러·원 환율, 왜?

2025년 5월 13일 서울외환시장에 따르면 달러·원 환율은 1402.4원으로 마감했습니다.

이는 지난달 초 1500원대를 넘볼 때와 비교하면 큰 폭의 하락입니다.

시장에서는 미국이 주요 교역국에 인위적 평가절상을 요구할 수 있다는 우려가 환율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대만 달러의 강세에서도 나타났습니다. 대만은 이달 초 달러 대비 9% 이상 절상됐습니다.


📉 플라자 합의 재현 가능성은?

1985년 미국은 일본, 독일과 함께 통화 가치를 조정한 플라자 합의를 통해 달러화 가치를 25% 가까이 낮췄습니다.

이로 인해 엔화와 마르크는 각각 32%, 45% 절상되었습니다.

현재는 자유변동환율제가 주류이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인위적 개입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이화여대 석병훈 교수는 “현재 외환시장에서 플라자 합의 같은 방식은 불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통상 정책 성향을 고려할 때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국제금융센터는 “정책 의지에 따라 실제 조정이 이뤄질 여지도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 미중 90일 관세 유예…원화 강세의 또 다른 이유

미국과 중국은 최근 상호 간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미국은 대중국 추가관세를 145% → 30%,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해 125% → 10%로 낮췄습니다.

이러한 결정은 무역전쟁 완화 기대감을 높이며 위안화 및 원화 강세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김호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위안화 강세가 곧 원화 동반 강세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 향후 환율 전망: 1200원대 진입 가능성?

문다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원화는 장기간 저평가 상태였으며, 환율 조정이 현실화될 경우 10% 이상 하락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현재 1400원대 환율이 1200원 초반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협상이 본격화되면 시장의 기대가 빠르게 반영되어 단기간에 급격한 환율 하락도 가능하다는 전망입니다.


🔍 결론: 달러·원 환율 하락에 대비해야

  • 미국의 인위적 절상 요구는 당분간 시장 심리에 영향 지속
  • 미중 무역 협상 해빙 분위기는 원화 추가 강세 요인
  • 환율 1200원대 진입 가능성 대비 필요

지금은 환율 변동성 확대 국면입니다. 투자자와 기업 모두 정책 변화와 글로벌 흐름에 민감하게 대응해야 할 시점입니다.

 

 

 

더보기

https://healmon.tistory.com/entry/%ED%99%98%EC%9C%A8-%EB%B3%80%EB%8F%99-%EC%B6%94%EC%9D%B4-%ED%99%95%EC%9D%B8%ED%95%98%EB%8A%94-5%EA%B0%80%EC%A7%80-%EC%8B%A0%EB%A2%B0-%ED%94%8C%EB%9E%AB%ED%8F%BC-%EB%B0%8F-%EB%B6%84%EC%84%9D-%EB%B0%A9%EB%B2%95-%EC%B4%9D%EC%A0%95%EB%A6%AC

 

환율 변동 추이 확인하는 5가지 신뢰 플랫폼 및 분석 방법 총정리

환율 변동 추이 확인하는 5가지 신뢰 플랫폼 및 분석 방법 총정리환율은 수출입 기업, 해외여행객, 투자자 등 모두에게 중요한 경제 지표입니다. 특히 특정 기간 동안 환율의 변동성을 분석하는

healmo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