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경제

[환율 이슈] 한미 '7월 패키지' 협상과 원화 절상 압박: 관세 전쟁에서 환율 전쟁 현실화되나

healmon 2025. 4. 30. 21:52

한미 '7월 패키지' 협상과 원화 절상 압박: 관세 전쟁에서 환율 전쟁으로?

2025년 4월 30일 현재, 한미 양국은 '7월 패키지' 협상을 진행 중이며, 이 협상 테이블에 환율 문제가 새롭게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관세 협상을 넘어 환율을 협상 카드로 꺼내면서 관세 전쟁에 이어 환율 전쟁이 본격화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미국의 환율보고서와 한국의 관찰대상국 지정

미국 재무부는 매년 상하반기 두 차례 자국과의 교역 규모가 큰 상위 20개국을 평가해 환율보고서를 발표합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150억 달러 이상의 대미 무역 흑자
  • 국내총생산(GDP)의 3% 이상에 해당하는 경상수지 흑자
  • 12개월 중 최소 8개월간 달러를 순매수하고 그 금액이 GDP의 2% 이상인 경우

한국은 지난해 11월 대미 무역 흑자와 경상수지 흑자 조건에 걸려 '환율 관찰 대상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는 2023년 11월 이후 1년 만의 재지정입니다.

원화 약세와 미국의 압박 가능성

최근 원/달러 환율은 1400원대를 상회하며 고환율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원화 약세는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과 정치적 리스크에 따른 결과로 분석되지만, 미국은 이를 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카드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미국이 중국을 대상으로 환율 전쟁을 제기하면 위안화에 동조하는 경향이 있는 원화의 급변으로 이어질 우려도 큽니다.

한미 통상 협의와 환율 논의

지난 24일 미국에서 진행된 한·미 2+2 통상 협의에서 미국 측은 환율 문제를 공식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환율 문제는 외환당국인 기획재정부와 미국 재무부가 별도로 논의하자고 제안하였습니다. 이는 원화 절상 압박이 크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결론

현재 원화 약세는 한국 외환당국의 인위적 조정이 아니라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과 정치적 리스크에 따른 결과로 보입니다. 그러나 미국이 환율을 협상 카드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향후 한미 간 협상에서 환율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부상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외환시장 안정과 통상 협상에서의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더보기

 

https://healmon.tistory.com/entry/%F0%9F%92%B8-%EB%8B%AC%EB%9F%AC-%ED%99%98%EC%A0%84-%EC%88%98%EC%88%98%EB%A3%8C-%EC%A0%88%EC%95%BD%ED%95%98%EB%8A%94-%EA%BF%80%ED%8C%81-%EC%B4%9D%EC%A0%95%EB%A6%AC%EC%8B%A4%EC%8B%9C%EA%B0%84-%ED%99%98%EC%9C%A8-%EC%A1%B0%ED%9A%8C

 

💸 달러 환전 수수료 절약하는 꿀팁 총정리! 실시간 환율 조회 사이트

💱 실시간 달러 환율 확인 사이트 BEST 5 추천달러 환율은 해외 송금, 해외 직구, 해외여행 등을 준비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중요한 정보입니다.특히 환율은 실시간으로 변동되기 때문에, 신

healmon.tistory.com